본명은 최종숙으로, 충북 음성에서 태어나서 여주 남한강 변에서 자랐다.
서울동산불교대학 및 동 대학원 불교학과에서 오랜 기간 불교 경전을 공부하며 사유의 체계를 다졌으며, 서울디지털대학교 문예창작과에서 소설, 동화, 수필, 시 등 다양한 장르의 문학 창작을 공부했다. 한국 수필만의 맛과 멋을 찾아 이어 가는 데 뜻을 두고 국립목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맥이 끊긴 옛 고전 문체 연구에 집중했다. 신라 대문장가 최치원의 34대 후손으로, 『계원필경』 및 고려시대 이규보 『동국이상국집』에 담긴 부(賦), 기(記), 명(銘), 잠(潛) 등 다양한 문체를 이어 가고자 연구하고 있다.
수필 작품에서 뛰어난 작품성과 문장력을 인정받아 2020년 서울문화재단창작기금과 2022년 아르코창작기금(발표지원)에 선정되었고, 2011년 한국불교문학신인문학상, 2023년 인산기행수필문학상, 2024년 제20회 원종린수필문학상 작품상을 수상했다.
저서로 『십오 년 막걸리』 『문답 대지도론』 『머뭄이 없는 가르침』 『마음 비행기』 『기억의 틀』 『Mind Glider』 『Waiting For The First Snow』 『진도, 바람소리 씻김소리』 그리고 브런치북 『성재심간기』가 있다.
오는 것도 없고 가는 것도 없이 사는 사람에게는 쌓이는 것이 없을 줄 알았다. 하지만 나도 모르게 말들은 쌓이고 있었다. 아직 생의 절반 밖에 달리지 않은 것 같은데도 쌓인 말들은 머리를 채우고 흘러 넘쳐 마음을 채우고 있었다.
이쯤에서 한 번은 내뱉지 않으면 안 될 것 같았다. 채우는 것보다 비우는 것이 더 힘들다. 쌓여가는 머릿속의 말들을 비우고 싶어서 겁 없이 썼다.
쓰고 보니 허접한 구석을 드러낸듯하여 부끄럽기도 하다 글재주가 마직 미약하여 감히 내놓기도 부끄러웠다. 하지만 뒤에 오는 사람에게 이런 부끄러움도 도움이 될 것 같아 감히 용기를 내었다.
이 글을 만나고 있는 당신에게!
나는 당신이고 싶습니다.
이 글이 수다가 아닌 당신의 웃음이고, 당신의 눈물이고 싶습니다.
그렇게 당신을 채워주는 글이 되길 바라면서 저자 채선후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