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역사학 및 디지털 역사학 분야 조교수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UCLA에서 아시아언어문화학(한국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인 연구자 최초로 ≪The Historical Journal≫에 논문을 게재했고, 모두 7편의 역서 및 공역서를 펴냈다. 냉전사, 환경사, 핵 역사, 디지털 역사학 등의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역사는 반복된다’라는 말은 오늘날 원전 관련 정책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2022년 대선을 통해 한국에서는 기존의 탈원전 기조가 기각되고 원전 개발이 다시금 날개를 단 듯하다. 저자가 ‘원자력의 약속’으로 명명한 ‘깨끗한 에너지’나 ‘안전한 에너지’ 등 원자력 발전을 옹호하는 수식어들은 냉전기와 거의 동일하다.(원자력 사고도 마찬가지다.) 원전 개발로 가장 이득을 보는 집단은 누구일까? 이 책은 핵기술의 홍보를 주도한 정책결정자·과학자 집단이 원전 개발을 옹호하는 대가로 무엇을 얻는지에 대해서도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들이 정치적 정당성, 경제적 지원, 학계의 명성을 얻을 때, 원전 개발 ‘비용’은 누가 어떻게 치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