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어이없는 바이러스인 코로나19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 나뿐만 아니라 우리 나라 모든 국민이 함께 고통스러워 하고 있다. 하지만 지나고 본다면 순간일 것이리라. 하루빨리 이 업보의 찰나에서 벗어나길 고대하며 그동안 써온 시들을 다시 엮어 보았다.
뭔가 남겨 보려고 수년간 생상한 편린(片鱗)들을 정리하는 일이 나름대로 의미 있어 보였다. 늘 그렇지만, 어쩌면 이번이 마지막이라는 심저으로 최선을 다하지만 여전히 부족한 느낌이다. 대가들이 다 작품을 완성하는 데 수정과 교정을 거듭하며 역작을 만들어낸다지만 역시 쉬운 일이 아니다.
항상 지나고 보면 쓸데없는 말잔치가 되어 버린 것 같아 씁쓸하다. 아마 그 이유는 우리 한글의 언어적 특성 때문이 아닐까 싶다. 시는 그냥 언어가 아니기 때문이다. 시는 넋두리가 아니며, 시는 길게 쓸 필요도 없고, 더욱이 짧아야 하는 조건도 없다. 시는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를 정확하게 명징하게 나타내야 한다. 그러나 그 반대일 경우도 있다. 그래서 그것이 쉽지는 않다.